전체 글93 [Git] git log, git reflog로 commit 히스토리 조회하기 (3) 앞선 포스팅을 통해 로컬 레포지토리의 변경사항들을 원격 레포지토리로 반영하는 법을 배웠다. 작업을 하고, 로컬 레포지토리에 업로드하는 과정들을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수 많은 commit들이 쌓이게 된다. 개발을 하다보면 쌓여진 commit들에서 이전 시점의 개발 내용이나 코드 변경사항 등을 확인하게 되는 순간들이 올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log 명령어를 통해 내 commit 내용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실습을 위해 example1.md, example2.md, example3.md, example4.md 를 하나씩 생성하고, 커밋을 해주었다. 이후 git log 커맨드를 입력해보면 위와 같이 내가 커밋한 내역들을 순서대로 볼 수 있게 된다. 커밋 내역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commit: .. 2023. 11. 27. [Git, bash] fatal: unable to access port 443: Coudln't connect to server 에러 해결 회사 장비에서 bash를 사용하여 원격 레포지토리로 push를 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github desktop이나 Visual Studio 상에서 push를 할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데, bash 터미널에 환경에서만 문제가 발생하여 검색해보니 프록시 혹은 방화벽 문제로 인해 깃허브 서버에 붙지 못하는 문제로 보였다. 프록시 환경에서 pull, fetch, push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roxy설정을 선행해야 한다. git config --global http.proxy http://username:password@proxy.server.com:8080 git config --global https.proxy http://username:password@proxy.server... 2023. 11. 27. [Git, github] Git 시작하기 (2) 본격적으로 git실습을 진행하기 전에,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hub와 같은 호스팅 서비스가 필수적이므로 github에 대해 알아보자. github란? 깃(Git)을 기반으로 소스 코드를 호스팅 하고, 협업 지원 기능들을 지원하는 웹서비스이다 github를 통해서 내 프로젝트를 업로드 할 수 있고, 변경된 히스토리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깃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대부분 github를 사용하여 실습을 진행하게 된다. 사실 github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Gitlab과 bitbucket도 있지만 대부분 회사 내부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실제로도 github가 가장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다. 또, Action 등 지원하는 기능의 다양성도 많고, 참고할 자료도 많아.. 2023. 11. 25. [Git, github] Git 시작하기 (1) 아마도 깃은 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용하는데 분명히 난이도가 있고, 양 또한 많다. 깃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기본적인 협업이 가능한 정도로 깃을 다룰 수 있는 것을 목표로 깃 시리즈 포스팅을 시작한다. Git 이란? 깃(Git)은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스냅샷 스트림 기반의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 장점 오프라인 작업이 가능하다. Git은 저장소를 일단 로컬에 복제하고, 로컬 저장소에 있는 히스토리도 그대로 유지되므로, 서버에서 새 자료를 받아올 수 없을 뿐이지 이외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대부분의 형상관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속도가 빠르다. 각각의 개발자들이 모두 분산처리 서버의.. 2023. 11. 25.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다음